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고지에선 아르헨 헉헉, 1753m를 우리 편으로

지난 6월 10일 에콰도르 키토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 에콰도르의 2010 남아공 월드컵 남미 예선. 아르헨티나는 리오넬 메시 카를로스 테베스 등 주축 선수를 총출동시켰다. 하지만 결과는 0-2 패배였다. 2800m나 되는 해발 고도가 아르헨티나의 발목을 잡은 '제2의 적'이었다. 평지보다 산소가 적은 고지대에서 아르헨티나는 후반 들어 힘을 쓰지 못했다. 후반 26분 결국 선제골을 허용했다. 골대에서 22m 지점에서 쏜 중거리슛이 빨랫줄처럼 골망으로 빨려들어갔다. 고지대는 공기가 희박해 같은 힘으로 슛을 쏴도 더 빠르고 멀리 나간다. 아르헨티나는 후반 38분 추가 골을 내주며 무너졌다. 이뿐이 아니다. 아르헨티나는 지난 4월 볼리비아와의 원정경기에서 1-6으로 참패했다. 당시 경기장이 있던 라파즈의 해발 고도는 3600m다. 한국은 남아공 월드컵에서 해발 고도 1753m에 위치한 요하네스버그 사커시티 스타디움에서 아르헨티나와 싸운다. 고지대에 적응을 잘 하면 아르헨티나와도 대등한 경기를 할 수 있다. 체육과학연구원의 송홍선 박사는 "고지대에서 90분을 뛰는 것은 평지에서 130분 뛰는 것과 비슷하다. 하지만 대비를 하면 좀 더 효율적으로 적응할 수 있다"며 "해발 고도 1330m인 태백 선수촌을 적극 활용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지대 적응 능력은 개인 차가 있어 이를 미리 점검해 출전선수 명단을 짜야 한다. 한국은 일찌감치 준비를 시작했다. 월드컵 기간 중 사용할 숙소를 1250m 고지대인 남아공 루스텐버그로 정했다. 내년 1월 6일엔 이곳으로 전지훈련을 간다. 월드컵 직전에도 알프스 산맥에 인접한 오스트리아 서부에서 고지 적응훈련을 한다. 축구협회는 북한.일본 등과 한 조에 속한 코트디부아르.가나 등 아프리카 강호들과 평가전을 추진할 전망이다. 이해준 기자

2009-12-07

대륙별 최강팀은 피했다, 한국 16강 욕심만은 아니다

아르헨티나(남미).나이지리아(아프리카).그리스(유럽). 한국이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조별 예선에서 맞붙을 상대들이다. 만만한 팀은 하나도 없지만 대륙 최강 팀들을 피했다는 점에서 충분히 해볼 만한 대진이다. 한국은 4일 남아공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남아공 월드컵 본선 조 추첨 결과 아르헨티나.나이지리아.그리스와 함께 B조에 속했다. 한국은 내년 6월 12일 그리스와 첫 대결을 펼친다. 6월 17일 아르헨티나와 2차전을 벌인 후 6월 23일 나이지리아와 마지막 일전을 치른다. 그리스는 전력 들쭉날쭉 아르헨은 초보 마라도나 지휘 나이지리아는 겨우 본선행 ◆첫 상대 그리스를 잡아라=한국의 16강 진출 여부는 그리스와 첫 경기가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는 유럽 예선 2조에서 6승2무2패로 2위를 차지한 후 우크라니아와 플레이오프(1승1무)를 거쳐 남아공 티켓을 따냈다. 오토 레하겔 감독이 9년째 지휘봉을 잡고 있는 그리스는 유로 2004(유럽축구선수권)에서 깜짝 우승하며 강한 인상을 남겼다. 하지만 독일 월드컵 본선 진출 실패와 유로 2008 본선 3전 전패의 수모를 당하며 '들쭉날쭉 도깨비 팀'이라는 평가에 시달리고 있다. 최근 테오파니스 게카스(레버쿠젠) 등을 앞세워 세대 교체에 성공했지만 유럽 톱클래스 전력은 아니다. 한국은 역대 전적에서 1승1무로 앞서 있는 그리스를 맞아 총력전을 펴야 한다. 아르헨티나는 B조 최강자로 꼽힌다. 비록 남미 예선에서 가까스로 4위(8승4무6패)로 본선에 턱걸이했지만 리오넬 메시(바르셀로나).카를로스 테베스(맨체스터 시티).곤살로 이과인(레알 마드리드)으로 이뤄진 공격 라인은 최강이다. 다만 수비가 불안하다 보니 공격력이 둔화되는 악순환을 거듭해 왔다. '초짜' 디에고 마라도나 감독의 어설픈 지도력도 도마에 오르고 있다. 한국의 허정무 감독은 1986년 멕시코 월드컵에서 마라도나의 전담 마크맨으로 그라운드에서 맞붙은 이후 마라도나와 24년 만에 지도자로 재대결을 벌이게 됐다. 당시 한국은 박창선이 월드컵 첫 골을 넣으며 분전했지만 1-3으로 완패했다. 지금도 아르헨티나는 버거운 상대임에 틀림없다. 8년 만에 월드컵에 오른 나이지리아는 96 애틀랜타 올림픽 금메달을 따낼 당시 위용은 아니다. 존 오비 미켈(첼시).오바페미 마틴스(볼프스부르크) 등이 핵심 선수지만 은완코 카누 같은 특급 스타가 없다. 최종 예선에서도 우여곡절 끝에 간신히 본선에 올랐고 아모두 감독은 경질 위기에 놓였다. 한국으로서는 충분히 해볼 만하다는 분석이지만 아프리카 특유의 리듬과 순간 돌파를 막아내는 것이 관건이다. ◆"최악 피했지만 최상도 아니다"=현장에서 조 추첨을 지켜본 후 귀국한 허정무 감독은 "최악은 피했지만 최상도 아니다. 남은 기간 상대에 따른 맞춤형 전략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레하겔 그리스 감독은 아르헨티나를 16강 후보로 꼽은 뒤 "그리스.한국.나이지리아가 남은 한 장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청용(21.볼턴)은 "리오넬 메시와 맞붙게 됐는데 잘해야겠다는 생각뿐이다. 불가능한 상대는 아니다"고 각오를 다졌다. 최원창 기자

2009-12-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